2022/08/11 3

이사 가기 전 해야 할 체크 리스트

여러분은 살아가면서 이사를 몇 번이나 경험하셨나요? 한 곳에서 나고 자라 그곳에서 평생 지낼 수 있지만, 이사라는 것이 집도 잘 골라야 하고, 계약도 이것저것 잘 따져보면서 잘해야 하고, 계약한 후에는 이사 준비로 모든 신경을 집중해야 합니다. 이사할 때마다 경험이 쌓이는 게 아니라 이사할 때마다 신경이 쓰이고, 어려운 일인 것은 어쩔 수 없나 봅니다. 이번 포스팅에는 이사 가야 할 때를 시기별로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모든 것이 다 해당 사항이 될 수 없으니 참고만 하시고, 슬기로운 이사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이사 가기 한 달 전 미리 준비해야 할 것 일단 임대차 계약이 완료되면 제일 먼저 해야 할 것이 이삿짐센터 예약입니다. 이사비용은 운송거리, 작업여건, 이사물량, 이사 날짜에 따라..

전전세, 전대차 비교와 주의할 점

집을 구하러 찾아다니다 보면 전세나 월세의 개념은 다 아시겠지만, 전전세나 전대차 등의 용어에는 생소할 수도 있습니다. 각자 본인의 상황에 맞게 전전세나 전대차가 유리할 경우도 있으니 그 의미를 알아보고, 주의할 점 등이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전전세, 전대차 이외에 다른 방법들도 소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집주인의 동의 없이 가능한 전전세 전전세는 임차인이 보증금의 보호를 받기 위해 전세권 설정등기를 마치고, 다시 전체 또는 일부를 다른 사람에게 빌려줄 수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전세권 설정등기는 전세보증금을 지급한 세입자(전세권자)가 자신의 상황에 따라 해당 주택을 이용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이로서 전세권 설정이 되어 있는 주택을 다른 사람에게 세를 내어 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주민등록증 진위 확인 시스템으로 집주인 확인하기

부동산 계약 시에 계약 상대자와 등기부등본, 건축물대장, 토지 대장 등의 소유주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은 알고 있지만, 정작 신분증을 확인하는 과정에서는 사진과 실제 얼굴만 대조하고 주민등록번호만 확인하는 등의 과정을 거치는 정도로만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주민등록증과 같은 신분증이 위조되었다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발급일자가 다른 경우도 있고, 신분증이 위조되었을 경우도 있기에 주민등록증 진위여부를 꼭 확인해야 합니다. 주민등록증 진위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ARS 전화번호 1382 번으로 주민등록증 진위 확인하기 ARS 전화번호 1382 번으로 전화를 걸어 주민등록증 진위를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국번 없이 1382번으로 전화를 겁니다. 안내멘트에 따라서 진..